계획이니 뭐니 떠들어도 이미 만들어진 도로를 보면 지금 현재 제일 잘나가는 곳을 알 수가 있습니다.
도로와 철도가 많이 뚫린곳이 바로 그 곳입니다.
더 정확하게는 발전할 공간이 많은 남아 있는 곳. 평지가 많은 곳이 나중에라도 발전할 수 밖에 없죠.
한반도 지도를 놓고 보면 명확해집니다.
이 좁은 땅덩어리에 갈 곳이 어디 있겠습니까?
도로망
철도망
출처
2020 수도권광역도시계획(변경) - 국토해양부 2009.4
<기존 202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의 핵심>
서울의 중심을 "도심, 영동, 영등포"에서 "도심, 영동, 영등포, 청량리(왕십리), 상암(수색)"으로 변경한다.
<금번 202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변경의 핵심>
개발축의 중심을 "경부축"에서 "서남부축 및 동북부축"으로 변경한다.
<변경안의 주요 사항>
1. 개발축 변경 천명
"경부축 중심의 개발" 에서 "서남부축 및 동북부축 중심의 개발"로 변경할 것을 천명함
2. 국민임대주택단지조성 면적크기 Top3
시흥시(5.655㎢)
남양주(5.006㎢)
고양시(4.733㎢)
3. 지역현안사업 면적크기 Top5
고양시 : 미디어밸리(0.859㎢)
남양주 : 행정타운 및 지식정보단지(0.658㎢) + 진건산업단지(0.142㎢)
하남시 : 물류및주택지조성사업(0.570㎢)
의정부 : 바이오산업(0.563㎢)
양주시 : 행정타운 및 역세권개발(0.450㎢)
<변경안의 진정한 의미>
1. 도시재생사업(뉴타운 등)의 세입자 문제 해결
서울 동북/서북/서남권에 집중되어 있는 도시재생사업지의 세입자 문제 해결을 통해
기계획된 도시재생사업(뉴타운 등)에 신동력 제공
2. 동북권 집중 개발
지역현안사업 면적크기 Top5에서 보듯이
수도권 동북부 집중 개발
출처
http://mm1253.mireene.com/bbs/view.php?id=19&no=16
http://cafe.daum.net/lee10520nowonlove/61vS/2807
전용홀더 채택으로"잔동작" 없이 맺고 끊음이 분명하여 순식간에 책을 펼치는데 특화된"노원도킹책갈피세트" |